전세금반환소송 셀프 후기 한 번에 끝내기 | 착수금 0원 안내
본문
전세금반환소송 셀프 후기 한 번에 정리
계약 만료 후 보증금을 받지 못해 직접 움직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제가 실제로 밟았던 순서를 담았습니다. 혼자서도 가능한지, 어느 지점에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지 판단하실 수 있도록 현실적인 체크포인트까지 남깁니다.
1. 시작 전 점검 – 해지 통보와 증거 정리
만기 한 달 전부터 계약해지 의사 표시를 확실히 남겼습니다. 문자·카카오톡 캡처와 내용증명으로 일자와 내용을 정리했고, 계좌이체 내역과 임대차계약서를 함께 파일링했습니다. 이 단계에서 중요한 건 “언제부터 돌려달라고 했는지”가 명확해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임대인이 차일피일 미루면 말로만 독촉하지 말고, 기록을 남기는 방향으로 전환하니 다음 단계가 훨씬 수월했습니다.
임대차계약서, 보증금 이체내역, 해지 통보 기록(문자/톡/내용증명), 주민등록등본, 등기부등본
분쟁 시점과 요구 내용을 명료화 → 다음 단계 진행 속도↑
2. 임차권등기명령으로 거주지 이동 준비
이사를 앞두고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지키기 위해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했습니다. 관할 법원에 필요한 서류를 접수하니, 주소를 옮겨도 권리를 유지할 수 있어 심리적 부담이 줄었습니다. 이 단계에서 느낀 점은 신청 요건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하나씩 지우는 방식이 실수를 막아준다는 것입니다.
3. 전자소송으로 소장 제출, 필요시 지급명령 선택
답변이 없던 임대인에겐 전자소송으로 소장을 제출했습니다. 화면 안내가 잘 되어 있어 초반 작성 허들은 낮았고, 다툼 여지가 적은 사안이라면 지급명령이 더 간편했습니다. 이후 임대인의 태도에 따라 조정 기일에서 합의하거나, 판결을 받아 강제집행(부동산·채권압류)으로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 핵심은 연결 끊기지 않게 단계별로 바로 이어가기였습니다.
소송을 택했다면 해지 통보일·열쇠 인도 시점·연락 내역을 정리해 제출. 다툼 포인트를 미리 줄이면 기일이 짧아집니다.
합의 또는 판결 후, 불이행 시 집행 절차로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었습니다.
4. 지연이자와 마무리 – ‘시간’도 권리입니다
기다리는 동안의 손해를 최소화하려면 지연이자 청구도 놓치지 말아야 했습니다. 해지·인도 등 요건을 갖추고 소장을 송달받은 뒤에는 법에서 정한 범위의 이자가 붙었고, 합의로 조정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보증금과 함께 이자 일부까지 정리되었고, 셀프로 시작했지만 필요한 구간에서 전문가 도움을 더해 시간과 비용의 균형을 맞출 수 있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