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금 반환 지연이자 가이드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 전세소송실무연구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전세보증금 반환 지연이자 가이드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profile_image
법도
2025-10-24 20:44 444 0

본문

전세보증금 반환 지연이자 가이드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 임대차 만료 대응

전세보증금 반환 지연이자 한 번에 끝내는 핵심 가이드

계약이 끝났는데도 돌려받지 못했다면, 언제부터 얼마를 청구할 수 있는지 기준·순서·계산을 정리했습니다.

기준 이율
약정이 없으면 연 5% (민법상 법정이율)
판결 후
지급할 때까지 연 12% (소송촉진법)
시작 시점
반환일 다음 날부터, 청구·통지로 명확화

지연이자 적용 원칙과 순서

임대차가 종료되었는데도 보증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임차인은 지연손해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계약서에 ‘지연 시 이율’이 정해져 있다면 그 약정이 우선하고, 약정이 없으면 법정이율(연 5%)이 적용됩니다. 소송으로 가면 판결 선고 다음 날부터는 상환일까지 연 12%가 적용되는 것이 통상적 흐름입니다. 반환일(만료일 또는 약정한 반환기일)과 청구 사실을 분명히 해 두면 기간 산정이 깔끔해집니다.

계약서 약정이율 ▶ 우선 적용 약정 없음 ▶ 연 5% 판결 선고 다음 날 ▶ 연 12%

얼마 받을 수 있나 계산 핵심

기본 계산식은 보증금 × (이율 ÷ 365) × 지연일수입니다. 반환일 다음 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를 산정하며, 내용증명으로 요구액과 기준일을 명시해 두면 분쟁 시 입증이 수월합니다. 계약서에 약정이율이 있다면 그것을, 없다면 연 5%를 적용합니다. 소송 단계에서 판결 선고 이후에는 통상 연 12%가 적용되는 점을 고려해 청구취지를 구성하세요.

1
반환일 확정
만료일 또는 합의한 지급기일을 기준으로 시작점을 잡습니다.
2
청구 통지
내용증명으로 원금·이율·기간을 기재해 요구 사실을 남깁니다.
3
지급명령/소송
불응 시 지급명령 또는 소송을 통해 원금+지연이자를 함께 청구합니다.
예시

보증금 30,000,000원, 법정이율 5%, 지연 60일 → 약 246,575원
30,000,000 × (0.05÷365) × 60

체크
  • 약정이율이 법정이율보다 높으면 약정이율로.
  • 판결 선고 뒤에는 상환일까지 별도 이율(12%) 적용.
  • 임차권등기만으로는 거주 유지 시 지연이자 전액을 바로 받기 어려울 수 있어, 이사·명도 시점과의 관계를 검토합니다.

자주 틀리는 세 가지

① 시작일 착오 — 반환일을 불명확하게 잡아 지연일수를 줄이는 실수가 잦습니다. 계약 만료 2개월 전 해지 통지를 하고, 만료일 또는 합의기일 다음 날로 시작일을 고정하세요. ② 기간 공백 — 소송 전(약정·법정이율)과 판결 후(12%)의 기간을 구분해야 합니다. ③ 증빙 누락 — 통화녹취보다 서면·우편 송달 기록(내용증명, 송달증명)이 훨씬 유리합니다.

반환일 명확화 기간 구분(전/후) 증빙 우선순위 약정이율 유무 체크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의 도움

전세보증금 반환 지연이자까지 최대치로 확보하려면, 약정·법정·소송상 이율의 적용 구간과 증거 정리가 관건입니다. 저희는 착수금 0원으로 시작하며, 원금·이자 산정, 내용증명 작성 방향, 지급명령 및 소송 설계까지 일관되게 지원합니다. 소송이 끝난 뒤 집행 단계까지 끌고 가야 진짜 회수가 마무리됩니다.

※ 본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휴일 휴무/점심시간 12:00~13:0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