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보증금 돌려받는 시기 정확히 언제 받는가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 전세소송실무연구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월세 보증금 돌려받는 시기 정확히 언제 받는가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profile_image
법도
2025-10-25 22:10 463 0

본문

월세 보증금 돌려받는 시기 정확히 언제 받는가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 안내

월세 보증금 돌려받는 시기 정확히 언제 받는가

만료일 동시 진행 원칙과 묵시적 갱신 시 3개월 규칙, 열쇠 인도·원상복구·공과금 정산, 지연이자와 권리 보전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핵심 한 줄 — 일반적으로 계약 만료일에 집 인도(열쇠 반환)와 동시에 보증금 반환이 이뤄집니다. 다만, 묵시적 갱신 상태라면 임대인에게 해지 통보가 도달한 날로부터 3개월 후가 정식 해지일이 되어 그 무렵 반환이 이뤄집니다. 반환이 지체되면 지연손해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1. 원칙 — 만료일에 동시에 처리

임대차가 끝나면 임대인은 보증금을 반환하고, 임차인은 집을 비워 열쇠를 넘깁니다. 일반적으로는 같은 날에 동시로 진행합니다. 이때 미납 차임이나 수선 비용 등은 보증금에서 공제될 수 있고, 반대로 특별한 공제가 없다면 즉시 반환돼야 합니다. 신규 세입자 유무는 원칙적으로 반환 시점의 전제가 아닙니다.

필수 확인

입주 전·후 사진, 시설 점검표, 확정일자, 전입·퇴거일자 기록을 정리해 두면 공제 다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정산 체크

관리비·전기·가스·수도 등 공과금 정산과 열쇠 반환을 완료해야 시점 지연을 피할 수 있습니다.

지연 대응

만료일 이후 반환이 지체되면 지연손해금을 함께 청구할 수 있습니다. 문자·이메일 등 요청 기록을 남겨두세요.

2. 예외 — 묵시적 갱신이면 3개월 후

계약이 묵시적 갱신된 상태라면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해지 의사를 알린 날부터 3개월이 지나야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 경우 통보일로부터 3개월 뒤의 시점까지 사용료를 부담하고, 그 무렵에 보증금 반환이 이뤄지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갱신 거절 또는 조건 변경 통지는 만료 6개월~2개월 전 기간을 지키는 것이 안전합니다.

3. 시점이 밀리는 대표 사례

다음 항목이 남아 있으면 반환 시점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다툼을 줄이려면 만료 준비가 필요합니다.

① 원상복구 미완료

파손·오염은 임차인의 책임 범위에서 정리해야 공제 다툼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② 공과금·관리비 미정산

증빙을 첨부해 완납을 확인하면 반환이 원활합니다.

③ 미납 차임

연체분은 보증금에서 공제될 수 있습니다. 금액·기간을 명확히 합의하세요.

4. 시한을 넘겼다면 이렇게 움직이세요

만료일이 지났는데도 돌려받지 못했다면, 다음 순서가 실무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상황에 따라 하나씩 진행하거나 병행합니다.

내용증명

계약 종료, 금액, 반환 기한을 특정해 발송합니다. 이후 절차에서 핵심 증빙으로 쓰입니다.

지급명령

간이 절차로 신속한 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의가 있으면 정식 소송으로 이어집니다.

임차권등기명령

이사가 급한데 미반환이라면 권리를 유지한 채 전출·이동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무료상담

착수금 0원 정책으로 안내드립니다. 전화 02-591-5662 (평일 10:00~18:00, 점심 12:00~13:00) · 승소자료 요청 · 홈페이지

의뢰 시에는 전담 변호사가 사건을 직접 진행합니다. 경험이 많은 변호사를 선임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본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구체 사안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월세 보증금 돌려받는 시기 #월세 보증금 반환 #묵시적 갱신 #해지 통보 2개월 #3개월 규칙 #열쇠반환 #원상복구 #공과금 정산 #지연손해금 #내용증명 #지급명령 #임차권등기명령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