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 등기 비용 2025 최신 계산표 셀프 준비부터 환급까지


2025-09-18 22:35
161
0
본문
2025년 현재 기준 안내
임차권 등기 비용 2025 최신 계산표 셀프 준비부터 환급까지
임대인이 보증금을 바로 돌려주지 않아 먼저 이사해야 할 때, 실제로 얼마가 드는지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한눈에 보는 기본 합계
임대인 1명, 임차인 1명, 1주택 기준의 대표적인 합계는 46,200원입니다. 구성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지세
2,000원
송달료(1회 × 6회)
5,500원 × 6 = 33,000원
등기신청수수료
4,000원
등록면허세(교육세 포함)
7,200원
위 금액은 대표 예시이며, 당사자 수·필지 수·반송 재송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비용이 달라지는 대표 상황
-
임대인 또는 임차인 인원수 증가
사람이 1명 늘 때마다 통상 송달료 기준회차만큼 추가됩니다. -
필지(부동산) 수가 2개 이상
부동산이 추가되면 등기신청수수료와 등록면허세가 건별로 붙습니다. -
송달 반송으로 인한 재송달
우편이 반송되면 회차가 늘어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나, 남은 분은 환급 가능합니다. -
해제 절차까지 고려
보증금을 돌려받아 임차권 등기 해제를 진행할 때는 별도의 등록면허세·수수료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준비와 납부 방법 가이드
신청 경로 | 전자소송으로 신청 가능(서면도 가능) |
인지세 | 전자수입인지로 납부 |
송달료 | 예납(통상 당사자 1명당 3회 기준). 반송 발생 시 추가 납부 가능, 잔여분 환급 가능 |
등록면허세 | 지방세. 위택스 등으로 납부 후 납부번호 입력 |
등기신청수수료 | 등기소 납부(전자신청 시 전자납부 포함) |
서류·납부 증빙을 빠짐없이 준비하면 보정 지시 없이 신속히 처리됩니다.
누가 부담하나요 그리고 실무 팁
임차권 등기 비용은 사안에 따라 임대인에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보증금 반환 청구와 함께 정리해 두면 분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전입신고·확정일자와의 관계, 이사 후 점유 이전 여부 등 기본 요건을 확인하고 진행하면 안전합니다.
전문가 무료 상담으로 정확한 금액 확인
사람 수·필지 수·재송달 여부에 따라 실제 금액이 달라집니다. 케이스별로 착수금 0원 정책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자세한 기준은 통화로 친절히 안내해 드립니다.
무료상담 02-591-5662
평일 10:00–18:00 (공휴일 휴무/12–13시 점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