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등기명령 이자 정확한 계산 기준과 청구 절차
2025-10-14 16:07
424
0
본문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임차권등기명령 이자, 언제부터 얼마까지 청구할 수 있을까요
전세금(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했다면, 이자 청구의 기준과 절차가 핵심입니다. 아래에서 발생 시점·이율·증빙·절차를 순서대로 안내드립니다.
POINT
이자 발생의 뿌리
계약이 끝났는데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으면 지체가 되고, 이때부터 지연손해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약정이율이 없으면 민법상 법정이율을 기본으로 봅니다.
TIP
임차권등기명령의 역할
거주지를 비워도 대항력·우선변제권을 잇기 위한 안전장치입니다. 보증금 미반환 상태임을 공식화해 이자 청구와 소송 진행의 발판이 됩니다.
CHECK
핵심 요건
① 계약 종료 통지·반환 청구 ② 열쇠 인도 등 이행제공(또는 실제 인도) ③ 임차권등기명령 신청 및 등기. 이 흐름이 분쟁에서 강한 증거력으로 작동합니다.
이자 발생 시점과 기준 이율
- 언제부터: 임대차가 종료되고 보증금 반환을 요구했는데 반환이 지체된 때부터를 원칙으로 봅니다. 열쇠 인도 등 이행제공을 입증하면 시점이 분명해집니다.
- 얼마나: 약정이율이 없으면 민법상 연 5%를 기본으로 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소장을 송달받은 다음날부터는 소송촉진특례법상 이율(법원 적용)이 별도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 약정이율: 계약서에 지연이율을 정했다면 그 이율이 우선합니다(다만 법정 상한·예외는 별도 판단).
① 계약 종료 + 반환 요구 — 내용증명·문자 등으로 요구 사실을 남깁니다.
② 이행제공 — 열쇠 반납 의사 표명 또는 실제 인도 · 퇴거 준비 완료 증빙을 확보합니다.
③ 임차권등기명령 — 거주지를 비워도 권리를 잇기 위한 안전핀입니다.
④ 소장 송달 후 — 법원이 정하는 소송 단계 지연이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계산 예시로 이해하기
예시: 보증금 1억 원, 약정지연이율 없음, 계약만료 다음날부터 90일간 미반환, 소장 송달은 60일째에 이루어진 상황을 가정합니다.
- 1~60일 — 기본 지연손해금: 100,000,000 × 5% × (60/365)
- 61~90일 — 소장 송달 다음날부터의 지연손해금: 법원이 정한 소송 단계 이율 × (30/365) × 보증금
실무에서는 발생 시점과 이율 구간을 나누어 합산 청구합니다. 증빙은 계약서, 만기 통지, 열쇠 인도(또는 인도 의사표시), 임차권등기부 등본, 소장·송달서류 순으로 정리해 두면 분쟁 대응이 효율적입니다.
자주 묻는 핵심 쟁점
- 임차권등기만으로 이자가 자동 발생하나요?
아닙니다. 계약 종료 + 반환 요구 + 이행제공이 확인되어야 지연손해금 청구의 토대가 굳어집니다. - 거주지를 비우지 않으면 이자 청구가 불가한가요?
동시이행 관계상 분쟁이 생길 수 있어, 최소한 열쇠 인도 의사와 일정을 명확히 제시해 두어야 안전합니다. - 등기 후 대항력·우선변제권은 계속되나요?
임차권등기가 마쳐지면 권리 유지·취득에 도움이 됩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등기 시점 관리가 필요합니다.
현장 체크리스트
- 만기 30~15일 전: 종료 통지 준비, 임대인 연락 이력 남기기.
- 만기일: 반환 요구 + 이행제공 의사 명확화(열쇠, 비번, 우편 회수 등).
- 만기 후 즉시: 임차권등기명령 신청(관할 법원), 등기부 등본 보관.
- 미반환 지속: 소 제기 후 송달 확인. 이율 구간 나눠 합산 청구 준비.
착수금 0원으로 시작하는 보증금 회수
내용증명부터 임차권등기명령, 소송·경매·채권집행까지 착수금 0원으로 진행을 안내합니다. 사건은 최종적으로 전담 변호사 1명이 책임지고 수행합니다.
- 무료상담 전화: 02-591-5662
- 상담시간: 오전 10시 ~ 오후 6시 (공휴일 휴무 / 12~13시 점심)
- 홈페이지: jeonselaw.com
- 승소자료 요청: 바로가기
바로 점검 받기
“내 사건에서 이자는 언제부터 얼마인가요?”를 3가지 자료로 확인해 드립니다.
- 임대차계약서(만기일)
- 반환 요구 증빙(내용증명/문자 등)
- 이행제공 또는 인도 증빙
알아두세요
본 페이지의 내용은 일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 사건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사실관계·판례·법령 개정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연관 키워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