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등기명령 이의신청 기간 한눈에 정리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 전세소송실무연구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임차권등기명령 이의신청 기간 한눈에 정리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profile_image
법도
2025-10-14 15:56 464 0

본문

임차권등기명령 이의신청 기간 한눈에 정리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임차권등기명령 이의신청 기간 정확히 언제일까요?

임대인이 등기우편으로 결정을 받아보고 나면 ‘기한을 놓친 건 아닐까?’가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임차권등기명령에 대한 이의신청은 법에서 별도의 기간 제한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법원의 이의결정에 불복하는 즉시항고는 고지받은 날로부터 통상 1주 이내에 제기해야 하므로 구분이 필요합니다. 아래에서 상황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핵심만 빠르게 정리

임차권등기명령에 대한 이의신청 자체에는 법정 기한이 없습니다. 다만 결정이 유효하게 존재하고 취소·변경을 구할 이익이 있어야 합니다.
이의신청 후 법원이 내린 결정에 불복하려면 고지받은 날부터 1주 이내 즉시항고를 해야 합니다. (집행정지 효력은 자동 부여되지 않습니다.)
이의만으로 집행이 멈추지는 않습니다. 필요 시 집행정지 또는 적절한 담보제공을 함께 검토하세요.

이의신청이 필요한 대표 상황

다음과 같은 경우 임대인 측에서 이의신청을 적극 고려합니다. 사실관계와 자료가 핵심입니다.

  • 임차인의 보증금 반환요건 불충족 또는 채권 소멸·부존재 주장
  • 임대차 종료 전 신청 등 요건 흠결 또는 절차상 하자
  • 보전 필요성 부족: 충분한 담보·재력 등으로 목적 달성 가능
  • 기재 오류(기간, 주소 등)로 등기의 전제가 흔들리는 경우

진행 절차 4단계

1
사실관계 정리
임대차 종료 시점, 보증금 지급 내역, 통지·송달 자료를 정리합니다.
2
이의사유 정교화
취소·변경을 구하는 구체 사유를 중심으로 증빙(계약서, 정산서, 대화기록 등)을 확보합니다.
3
법원 심문/변론 대응
심문·변론기일에 대비한 의견서·증거목록을 준비하고, 필요 시 담보 제공 전략을 세웁니다.
4
결정 후 대응
불복은 1주 내 즉시항고를 검토하고, 집행취소 또는 정지 절차를 연결합니다.

자주 받는 질문

Q. 정말 기한 제한이 없나요?
A. 네. 별도 기간 제한 규정이 없으므로, 결정이 유효하고 취소·변경의 이익이 있는 동안 가능합니다. 다만 시간 경과로 사실관계가 고착되면 인용 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Q. 이의신청만으로 등기 효력이 멈추나요?
A.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집행은 계속되며, 필요 시 집행정지나 담보제공을 별도로 요청해야 합니다.
Q. 즉시항고는 언제까지?
A. 이의에 대한 법원 결정을 고지받은 날부터 1주 이내가 일반적입니다. 기한 도과 방지를 위해 바로 준비하세요.

지금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까요

결정문·송달봉투, 계약서, 정산서, 이체 내역, 문자·메신저 기록을 모아 두세요. 저희는 실제 사건 기준으로 착수금 0원 정책을 운영하며, 전화로 빠르게 방향을 제시해 드립니다.

무료상담 02-591-5662 무료 승소자료 요청 공식 홈페이지 상담시간 10:00–18:00 (공휴일 휴무/12–13시 점심)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명령 #이의신청 #기간 #즉시항고 #집행정지 #주택임대차보호법 #민사집행법283조 #취소신청 #변경신청 #전세보증금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