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금 영수증 양식 제대로 받는 법 한 번에 끝 > 전세소송실무연구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보증금 영수증 양식 제대로 받는 법 한 번에 끝

profile_image
법도
2025-09-23 13:58 173 0

본문

보증금 영수증 양식 제대로 받는 법 한 번에 끝
보증금 영수증 양식 제대로 받는 법 한 번에 끝

계약금·중도금·잔금을 지급할 때 남기는 한 장의 차이가 분쟁의 결과를 바꿉니다. 상황별로 어떤 항목을 넣어야 하는지, 실제 분쟁에서 도움 되는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전세 월세 임대차 계약금 잔금

보증금 영수증 양식 핵심만 빠르게 보기

반드시 넣는 항목

  • 임대인·임차인 성명과 서명(또는 날인), 연락처
  • 부동산 표시(주소·동·호수 등 정확 표기)
  • 금액(숫자와 한글 금액 병기, 지급일)
  • 지급 구분(계약금·중도금·잔금·증액분)
  • 지급 방법(계좌이체·현금·수표, 계좌 끝 4자리 등 확인용)
  • 잔액 및 차기 지급일 기재
  • 특약(원상복구, 공용비 정산, 보증보험 가입 등)

금액을 숫자와 한글로 함께 적으면 변조 예방에 유리합니다. 첫 글자에 ‘일’을 붙여 공란 보충을 막는 방식이 실무에서 널리 쓰입니다.

상황별 체크

신규 계약 계약금·중도금·잔금 확정 금액·일자 갱신·증액 증액분 표시 이전 보증금과 합계 반환 시 수령액·지연이자 원상복구·공과금

갱신 시에는 기존 금액과 증액분을 구분해 합계를 적고, 반환 단계에서는 공과금 정산·열쇠 인도 등 인수인계 사항을 함께 기록해 두세요.

보증금 영수증 양식 작성 요령

보증금 영수증 양식은 임대차 당사자, 부동산의 표시, 지급 내역, 잔액, 특약을 한 장에 명확히 담는 문서입니다. 계약금·중도금·잔금처럼 단계가 나뉘는 경우에는 각 지급 단계마다 별도로 작성·보관하는 편이 안전하며, 월세 보증금과 전세 보증금처럼 형태가 달라도 기본 틀은 동일합니다. 금액은 숫자와 한글 금액을 함께 표기하여 공란에 다른 숫자가 더해지는 변조 가능성을 줄이고, 지급 방법은 계좌이체·현금·수표 중 무엇인지와 확인 가능한 근거(이체 내역의 말일자, 수표번호, 현금의 경우 수령자 서명)를 병기합니다. 주소는 등기부등본과 일치하도록 동·호수까지 적고, 잔액이 남아 있다면 다음 지급일을 특정해 분쟁 시 기한의 이익을 둘러싼 다툼을 예방합니다. 갱신이나 증액의 경우에는 이전 보증금과 증액분을 구분해 합계와 기준일을 쓰며, 반환 단계에서는 수령액과 함께 공용관리비·체납금·원상복구 항목의 정산 여부, 열쇠·출입카드 인도 등 인수인계 사항을 간단히 표시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포인트 3가지

숫자와 한글 금액을 같이 써야 하나요?
둘 다 적는 편이 안전합니다. 숫자 앞에 ‘일’을 붙여 여백 보충을 막고, 끝자리는 ‘정’으로 마무리하는 전통 표기 습관이 변조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계좌이체 내역이 있으면 문서를 안 써도 되나요?
이체 내역만으로도 지급 사실을 소명할 수 있지만, 계약 단계·잔액·특약을 한 눈에 확인하려면 간단한 양식을 함께 남겨 두는 것이 분쟁 예방에 유리합니다. 특히 증액이나 반환 시에는 정산 항목을 표기해 두면 좋습니다.
전세·월세 상황별로 달라지는 점은 무엇인가요?
틀은 같지만, 전세는 계약금·중도금·잔금의 단계 구분이 뚜렷하고, 월세는 보증금과 월차임의 동시 관리가 중요합니다. 갱신 시에는 증액분을 구분 기재하고, 반환 단계에서는 열쇠·카드 인도와 공과금 정산을 함께 적어 두세요.

마지막 점검 체크리스트

첫째, 실제 소유자와 계약 당사자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대리인과 작성할 때에는 위임장과 신분증 사본을 보관합니다. 둘째, 주소·호수·면적·용도와 같은 부동산의 표시는 등기기준에 맞춰 정확히 적습니다. 셋째, 금액은 숫자와 한글 금액을 병기하고, 지급일·지급 방법·증빙 자료를 함께 표기합니다. 넷째, 잔액과 다음 지급일을 명확히 하며, 월세의 경우 보증금과 월차임의 관리 방식을 분리해 적습니다. 다섯째, 반환 단계에서는 수령액, 지연이자 정산, 공용비 체납 여부, 원상복구, 열쇠·카드 인도 같은 인수인계 사항을 함께 적어 최종 분쟁을 줄입니다. 마지막으로, 문서의 끝에는 작성일과 당사자 서명(또는 날인)을 반드시 남겨 두세요.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무료상담 안내

보증금 영수증 양식 작성부터 분쟁 예방 설계까지, 상황을 듣고 맞춤으로 점검해 드립니다. 착수금 0원 정책으로 내용증명·임차권 등기명령·소송 이후 집행까지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업무시간(10:00~18:00, 공휴일 휴무/12:00~13:00 점심)에는 아래 번호로 바로 연결해 주세요.

무료상담 02-591-5662

업무시간 외에는 홈페이지에서 승소자료를 요청하시면 자료 제공과 함께 다음 영업일에 상담 드립니다. 상세 안내: jeonselaw.com

본 안내는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