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등기명령 시기 제대로 판단하는 법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 전세소송실무연구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임차권등기명령 시기 제대로 판단하는 법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profile_image
법도
2025-09-26 05:01 234 0

본문

임차권등기명령 시기 제대로 판단하는 법 |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임차권등기명령 시기 핵심 정리

보증금 미반환 시, 임차권등기명령은 언제 신청해야 할까

계약이 끝났는데도 보증금이 돌아오지 않아 이사 일정을 못 정하셨다면, 신청 기준과 순서를 먼저 점검해야 합니다. 아래 기준을 따라가면 ‘언제’ 신청할지 명확해집니다.

신청 시점을 결정하는 4가지 체크포인트

1
임대차가 ‘종료’했는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기간 만료, 해지 통보의 효력 발생, 합의 해지 등으로 계약이 끝난 뒤에도 보증금이 미지급이라면 대상이 됩니다. 기간 약정이 없다면 해지 통보 후 일정 기간이 지나 효력이 생긴 뒤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관할은 임차주택 소재지의 지방법원(지원 포함) 또는 시·군 법원입니다. 주소지 기준이 아니라 주택 소재지 기준입니다.
3
권리 유지 포인트를 고려합니다. 신청 후 등기가 이루어지면 종전의 대항력·우선변제권이 유지되므로, 등기 완료 전에는 함부로 이사 나가지 말고 등기 완료 여부를 확인한 다음 주택을 인도하세요.
4
준비 정도를 살핍니다. 계약서, 갱신 내역, 보증금 잔액, 이사 예정일 등을 정리해 두면 결정이 신속해집니다. 필요하면 확정일자, 주민등록 등 기존 요건과의 관계도 함께 점검합니다.

자주 함께 찾는 쟁점 정리

  • 언제 가능한가: 계약 종료 + 보증금 미반환일 때 가능합니다.
  • 효력의 시점: 신청일이 아니라 등기 완료 시점부터 보호가 이어집니다.
  • 권리 유지: 등기가 되면 종전의 대항력·우선변제권이 유지됩니다.
  • 연관 주제: 기간, 조건, 절차, 필요서류, 말소·해제, 관할법원, 비용.

안내 및 유의사항

본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개별 사안마다 결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명령 시기#언제#기간#조건#절차#필요서류#효력#우선변제권#대항력#관할법원#말소#해제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