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차권등기명령 신청시기 정확한 타이밍과 실무 체크리스트 > 전세소송실무연구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임차권등기명령 신청시기 정확한 타이밍과 실무 체크리스트

profile_image
법도
2025-11-03 10:08 242 0

본문

임차권등기명령 신청시기 정확한 타이밍과 실무 체크리스트
임차권등기명령 신청시기 핵심 정리

이사와 보증금 사이, 언제 신청해야 권리가 안전할까요

임대차가 끝났는데 보증금이 아직이라면, 타이밍이 전략입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만 따라오세요.

원칙 한 줄 요약

임대차 종료 후만료·해지·합의해지 포함
보증금 미반환일부 수령이어도 잔액 남으면 해당
등기 완료 후 이사등기부에 기재된 시점 기준

위 세 가지가 맞물릴 때 신청 대상이 됩니다. 주소 이전은 등기 완료 후로 계획하세요.

타이밍을 결정하는 4가지 질문

① 임대차는 종료되었나요

기간 만료, 적법한 갱신거절·해지 통보 또는 합의해지로 종료된 경우에 해당합니다. 기간 약정이 없었다면 해지 통보 후 1개월 경과가 필요합니다.

② 보증금이 남아있나요

일부를 받았더라도 잔액이 남아 있다면 ‘미반환’에 해당합니다. 금액과 지급 약속 내역을 정리해 두세요.

③ 전입·확정일자 상태는

기존 전입과 확정일자를 확보했다면, 등기 완료 후 이사해도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의 연속성 확보에 유리합니다.

④ 이사 일정은 어떻게 연결하나요

신청→법원 결정→등기 완료 순으로 진행됩니다. ‘등기 완료 확인’ 전에는 주민등록 이전을 미루는 것이 안전합니다.

자주 발생하는 타이밍 오류

  • 등기 완료 전 이사로 기존 대항력 상실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
  • 묵시적 갱신을 간과해 종료 요건을 못 갖춘 상태에서 신청하는 경우
  • 관할·목적물 표기가 불명확해 보정 지연이 생기는 경우

이 세 가지는 일정 지연과 권리 공백의 주된 원인입니다.

실무 로드맵: 일정 잡는 방법

Step 1. 계약 종료 및 반환 요구를 입증할 자료를 정리합니다(계약서·확정일자 도장, 갱신거절·해지 통보, 내용증명/메시지, 전입세대열람 등).

Step 2. 임차주택 소재지 관할 법원에 접수(또는 전자접수)합니다. 결정 후 법원이 등기소에 촉탁하여 기재됩니다.

Step 3. 등기부등본에서 임차권등기 기재 완료를 확인한 뒤 전입 이전·이사를 진행합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바로 일정 점검

  • 만기 도래가 임박했고, 반환 약속이 불명확한 경우
  • 보증금 일부만 지급받고 잔액이 남아있는 경우
  • 새 집 계약일이 정해져 주소 이전이 불가피한 경우

의뢰 시 전담 변호사 1인이 끝까지 책임 진행합니다. 경험 많은 변호사를 선임하는 것이 사건 안정에 유리합니다.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안내

전세금 반환을 준비하신다면 착수금 0원 정책으로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내용증명부터 임차권 등기명령, 판결 후 집행 단계까지 조건 충족 시 0원으로 지원합니다. 세부 조건은 상담에서 투명하게 안내드립니다.

확인 및 유의사항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명령 #임차권등기명령신청시기 #보증금미반환 #임대차종료 #대항력 #우선변제권 #확정일자 #전입신고 #관할법원 #전세보증금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