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보증금 돌려받기 절차 실전 가이드|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본문
전세 보증금 돌려받기 절차, 이 순서로 하면 깔끔합니다
계약 만료 전 준비부터 임차권등기명령, 지급명령·소송, 보증이행과 강제집행까지—실무 흐름 그대로 정리했습니다. 지금 당장 적용할 수 있는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따라오세요.
1단계 · 계약 만료 전 준비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갖춰 대항력·우선변제권을 확보합니다. 만료 2~3개월 전 임대인에게 종료 의사를 통지하고, 연락두절·지연 조짐이 보이면 추후 증거가 되는 내용증명을 준비하세요. 등기부로 근저당 변동도 점검해 위험 신호를 미리 확인합니다.
핵심 체크
① 전입세대 열람·확정일자 스탬프 확인 ② 등기부 근저당·가압류 변동 모니터링 ③ 보증보험(공공·금융기관) 가입 여부 검토
2단계 · 만료일 도래 & 반환 지연 시 대응
만료일을 기준으로 반환 기한을 분명히 적은 내용증명을 발송합니다. 이사로 점유를 이전해야 한다면 임차권등기명령으로 대항력·우선변제권을 유지한 채 퇴거할 수 있습니다. 보증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약관에 따라 보증이행 청구를 검토하고, 미가입 상태라면 지급명령(전자)으로 신속히 집행권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실무 팁
· 내용증명에는 금액·계좌·기한을 특정하세요. · 임차권등기명령은 관할 법원에 신청하고, 접수 후 등기가 완료되면 퇴거·열쇠반환 등 인도 정리를 진행합니다. · 지급명령은 전자소송으로 서류 제출과 인지·송달료 납부가 가능해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3단계 · 판결·보증이행 이후 회수
요약 · 이렇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만료 전 전입신고·확정일자 확인 → 임대인 통지 → 위험 신호시 내용증명 준비. 만료 도래 내용증명 발송 → 임차권등기명령으로 권리 유지 → 보증이행 또는 지급명령·소송 착수. 회수 단계 판결·보증금 수령 후 강제집행 선택 및 배당요구·지연손해금 정산. 모든 단계에서 서면·통화 기록을 남겨 추후 증거로 활용하세요.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