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보증금 영수증 제대로 받는 법 핵심 체크리스트 > 전세소송실무연구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전세 보증금 영수증 제대로 받는 법 핵심 체크리스트

profile_image
법도
2025-10-05 02:40 10 0

본문

전세 보증금 영수증 제대로 받는 법 핵심 체크리스트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

전세 보증금 영수증 제대로 받는 법 핵심 체크리스트

돈이 오가는 순간에 남는 것은 기록입니다. 전세 보증금 영수증은 반환 사실을 명확히 남기고 추후 분쟁을 줄이는 가장 기본적인 증빙입니다. 아래 안내에 따라 항목을 빠짐없이 확인하고, 지급 증빙을 함께 보관하면 분쟁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1. 빠지면 안 되는 기본 항목

영수증에는 당사자 정보(임대인·임차인 성명/생년월일 또는 사업자번호/연락처), 부동산 표시(주소·동·호수, 계약일자, 계약기간), 반환 금액(총액, 기지급액, 이번 수령액, 잔액), 지급 방식(계좌번호·은행명·예금주 또는 현금 수령), 수령 일시와 장소, 그리고 서명·날인이 명확히 들어가야 합니다. 관리비·수선비 등과 상계했다면 항목별 금액과 사유를 따로 적어 두세요. 가능한 한 계좌이체확인증이나 수납증빙 사본을 함께 보관하면 추후 확인이 수월합니다.

2. 반환 과정에서 특히 유의할 점

첫째, 영수증은 반환 사실의 증빙으로 유용하지만, 이것만으로 대항력이나 우선변제권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확정일자·전입신고 등 권리 요건은 계약 단계에서 별도로 갖춰야 합니다. 둘째, 현금 수령이라면 신분증 확인과 자필 서명을 받고, 가능하면 계좌로 지급해 흔적을 이중으로 남기기를 권합니다. 셋째, 관리비·수선비·원상복구비 등 정산 항목은 사전에 합의하고, 금액과 산출 근거를 문장으로 남기십시오. 넷째, 일부 금액만 받은 경우에는 잔액과 지급 기한을 명시해 두면 분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3. 실제로 이렇게 적어 두세요

① “임차인 ○○○은 2025년 ○월 ○일, 아래 부동산(주소: ○○시 ○○구 ○○로 ○○, ○동 ○○호)과 관련하여 임대인 △△△으로부터 보증금 금 ○○원 중 ○○원계좌이체(은행명/계좌/예금주 표기)로 수령하였으며, 잔액은 ○○원입니다.” ② “관리비 미납 ○개월분 ○○원, 수선비 ○○원은 상호 합의에 따라 보증금에서 상계하였습니다.” ③ “상기 사실에 대하여 임차인 자필 서명/날인으로 확인합니다. (날짜/장소 기재)”와 같은 식으로 숫자·방법·합의가 한 문단에서 읽히도록 구성하면 좋습니다.

상황이 복잡하면 바로 상담하세요

계약 종료 통지 시점, 정산 항목 다툼, 임차권 등기명령 병행 여부 등은 사례에 따라 판단이 달라집니다. 법도 전세금반환소송센터는 착수금 0원 정책으로 시작하여, 반환 판결 이후 채권 집행까지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통화가 어려운 시간대에는 홈페이지에서 무료 승소자료를 신청해 보시고, 근무시간에는 즉시 전화를 주시면 됩니다.

무료전화 상담 가능시간: 오전 10시 ~ 오후 6시 (공휴일 휴무 / 12시~1시 점심시간)

안내 · 본 자료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무료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세_보증금_영수증 #전세보증금_반환_영수증 #보증금_반환_영수증_양식 #영수증_작성_방법 #확정일자 #전입신고 #계좌이체확인증 #정산내역 #상계 #임차권등기명령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전체 메뉴